전 세계에서 단 두 나라만 허용되지 않는 물리치료사의 자유, 그 현실과 탈출구
-
10회 연결
본문
이런 생각을 해본 적 있으신가요? 아마도 당신은 자신의 이름을 건 클리닉을 운영하며, 독립적인 의료인으로서 환자들을 만나고 있을지도 모릅니다.
혹은 미국, 캐나다, 뉴질랜드, 영국 등 취업 전망이 좋은 나라 중 당신이 선택한 곳에서
전문가로 인정받으며 일하고 있을 수도 있겠죠. 하지만 현실은 어떤가요?
물리치료계에도 '전문성의 족쇄'가 채워진 나라들이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전 세계에서 물리치료사가 독립적으로 클리닉을 개원할 수 없는 나라는 단 두 곳뿐입니다. 바로 한국과 일본입니다.
"열전기치료기 작동하는 사람"이라는 오해를 받는 나라, "의사의 오더 없이는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의료 기사"로 규정된 나라에서 우리는 왜 변화를 시도하지 않을까요? 의료인으로서의 정체성, 전문가로서의 자부심, 그리고 더 넓은 세계로의 도전 - 이 모든 것이 우리에게도 가능합니다.
오늘은 우리나라 물리치료 시스템의 불편한 진실과, 그 한계를 뛰어넘어 글로벌 물리치료사로 성장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에 대해 이야기해 보려 합니다.
제한된 환경에서의 물리치료 - 한국과 일본
여러분, 알고 계셨나요? 전 세계에서 물리치료사가 클리닉 단독개원이 불가능한 나라는 오직 두 곳뿐입니다. 바로 한국과 일본입니다.
왜 그럴까요? 우리나라 물리치료 교육 커리큘럼은 일본식 교육과정을 토대로 설계되었기 때문입니다.
의료 기사라는 직업군으로 묶여있는 현실, 그 안에서의 제한된 의료 행위, 이것이 우리나라 물리치료사들이 직면한 현실입니다.
대학에서의 실습은 어떤가요? 짧은 시간 동안 '관찰(observation)'에 그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실제 환자를 독립적으로 평가하고 치료하는 경험은 극히 제한적이죠. 그리고 이런 환경에서 교육받은 물리치료사가 교수가 되어 다시 같은 방식으로 후학을 가르치는 순환 구조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더 많은 정보를 알고 싶다면 블로그에서 확인해보세요!
댓글목록0